매화도
매화도 소작쟁의
1927.08 ~ 1927.12
1927.08 ~ 1927.12
매화도 소작쟁의는 1927년 8월부터 12월까지 신안군 압해면 매화리에서 전개되었다. 매화도에서는 1924년경에 매화도소작인친목회와 매화도노농공조회를 조직하였고, 매화도소작인친목회는 1927년 6월경 서병대를 중심으로 매화도농민조합으로 발전하게 된다.
당시 매화도의 최대 지주는 서인섭이었는데, 소작인들에게 고율의 소작료를 거둬들였다. 이에 매화도농민조합에서 1927년 소작료 경감운동을 전개하였다.
농민조합은 지주들에게 소작료 4할을 제안했는데, 지주 중 서인섭만이 거부하자 서인섭에 대한 소작료 불납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소작인들은 서지주에게 돈도 빌려 쓰고 있는 상황이었다. 서인섭은 소작인들의 불납 운동을 저지 지키기 위해 빌려준 돈을 갚지 않는다는 명목으로 9월 1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 매화노농민조합 조합원들에 대해 가옥명도 가처분을 신청하였다. 9월 2일과 12일 법원 관계자들이 매화도에 들어와 가옥명도 가처분을 시행했으며, 이를 저지하는 농민조합 측과 큰 충돌을 일으켰다.
당시 매화도의 최대 지주는 서인섭이었는데, 소작인들에게 고율의 소작료를 거둬들였다. 이에 매화도농민조합에서 1927년 소작료 경감운동을 전개하였다.
농민조합은 지주들에게 소작료 4할을 제안했는데, 지주 중 서인섭만이 거부하자 서인섭에 대한 소작료 불납운동을 전개하였다. 당시 소작인들은 서지주에게 돈도 빌려 쓰고 있는 상황이었다. 서인섭은 소작인들의 불납 운동을 저지 지키기 위해 빌려준 돈을 갚지 않는다는 명목으로 9월 1일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 매화노농민조합 조합원들에 대해 가옥명도 가처분을 신청하였다. 9월 2일과 12일 법원 관계자들이 매화도에 들어와 가옥명도 가처분을 시행했으며, 이를 저지하는 농민조합 측과 큰 충돌을 일으켰다.
추수철을 맞은 10월경 농민조합은 지주들에게 ‘공정한 사람’을 뽑아 소작료 감정을 하자고 했으나, 서인섭만이 거절하였다. 이에 농민조합은 서인섭에 대해 소작료 납부를 거부하였다. 목포에서 유지로 활동하던 서인섭은 재빨리 관헌을 동원하여 소작쟁의를 저지하고자 했다. 11월 12일 쿠리야마 켄키치[栗山兼吉] 검사 일행이 매화도에 들어와 소작료 5할을 받아들일 것을 협박하였으나, 농민조합은 이에 굴하지 않고 4할을 밀어붙였다. 그러자 쿠리야마 검사는 서병대·박관섭 등 간부 14명을 체포하였다. 이에 반발하며 수감자 석방을 요구하던 부녀자 6명 등 12명이 추가로 구속되었다. 치열한 공방 끝에 1928년 5월 소작료 5할 및 지주의 소작인 지원 등에 대한 내용으로 합의가 이루어졌다. 구속자에 대해서는 1928년 9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최대 징역 1년형이 선고되었다.
매화도 소작쟁의 활동과 관련하여 현재 확인된 수감자는 총 26명이다.
신안군 항일농민운동 연표
1924년
- 02. 14. 매화도노농공조회(梅花島勞農共助會) 결성
- 03. 12. 이전. 매화도소작인친목회(梅花島小作人親睦會) 결성
1927년
- 06. 24. 매화도소작인친목회, 매화도농민조합(梅花島農民組合)으로 혁신, 집행위원장 서병대(徐炳戴)
- 06. 24. 매화청년회(梅花靑年會) 결성
- 06. 25일경 매화도농민조합, 혁신총회 개최하고 논 소작료 4할, 밭 소작료 인하 결의
- 06. 25. 이후 매화도농민조합, 지주들에게 소작료 4할 통보, 대지주 서인섭(徐寅燮)이 4할을 거부하자 서인섭에 대한 소작료 불납운동 전개
- 08. 24·29. 매화도농민조합, 서병천(徐炳千)의 집에서 서인섭의 가옥명도 가처분 방안 논의
- 09. 02.~ 03. 집달리 일행 매화도 도착. 대동마을과 청성마을에서 가옥명도 가처분 집행, 조합원들과 주민들의 저지로 둘 사이에 물리적 충돌 발생
- 09. 12. 집달리와 경찰 매화도 도착, 조합원들의 집에 대한 가옥명도 가처분 집행에 들어갔으며 물리적 충돌 발생
- 09. 12. 매화도농민조합 긴급총회 개최, 대지주 서인섭 부친 서치규(徐致奎) 집에서 농성
- 10. 추수를 앞두고 매화도농민조합에서는 10명을 선정하여 소작료 감정, 소작료 4할을 지주에게 통보했으나 서인섭만은 거부함
- 10. 서인섭은 소작료를 5할로 감정하고, 납입고지서 발부. 소작인들은 이를 거부함
- 10. 14. 매화도농민조합 서병언(徐炳彦), 가옥명도 가처분되어 있던 조합원들의 집의 차압 봉인 훼손
- 11. 매화도 서인섭에게 소작료 5할을 납부하려는 소작인들과 조합원들 사이에 물리적 충돌이 일어남
- 11. 03 고옥정웅(古屋貞雄) 변호사, 매화도 소작쟁의 조사차 목포 방문
- 11. 12. 광주지검 목포지청 검사 율산겸길(栗山兼吉), 경찰, 집달리 등을 동행하고 매화도 도착, 매화도농민조합 간부들에게 소작료 5할 강요
- 11. 12. 소작료 5할을 거부하는 매화도농민조합 간부 14명 체포
- 11. 12. 매화도 소작쟁의와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서병재(徐炳才), 서병인(徐炳寅), 서병남(徐炳南) 3형제의 자택 및 회사 수색
- 11. 16. 가옥명도 가처분 훼손을 명분으로 매화도농민조합 조합원 6명 체포
- 11. 16. 매화도농민조합 조합원 가족 30여명 목포지방지청에서 농성
- 11. 20. 고옥정웅(古屋貞雄) 변호사, 매화도소작쟁의를 항의하기 위해 목포경찰서 방문
1928년
- 05. 05. 일본인 영정(永井)의 중재 아래 매화도소작쟁의 문제 합의, 소작료 5할 및 지주는 소작인들에게 농사 경영자급 5전 대부
- 07. ~ 08.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매화도소작쟁의 관련 예심 종결, 광주지방법원 합의공판으로 이전
- 09. 28. 매화도 소작쟁의 관련 서병대 등 26명, ‘상해, 주거침입, 공무집행 방해, 폭행, 협박’죄로 최대 징역 1년의 실형 선고
수감자 명단 (가나다 순)
순번 | 이름 | 형량 | 활동사항(판결물 내용) |
---|---|---|---|
1 | 강윤경(姜允庚) 여옥(汝玉)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2 | 강윤국 (姜允局)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3 | 김남원 (金南元)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4 | 김동준 (金東俊) |
징역 6월 |
|
5 | 김봉일 (金奉日)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6 | 남금석 (南今石)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7 | 박관섭 (朴寬燮) |
징역 1년 |
|
8 | 박동운 (朴東云)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9 | 박병순(朴炳淳) 문정(文正) |
징역 8월 |
|
10 | 박행규 (朴幸奎) |
징역 8월 |
|
11 | 박홍규 (朴洪奎) |
징역 6월 |
|
12 | 서병대(徐炳戴) 병대(炳大) |
징역 1년 |
|
13 | 서병언 (徐炳彦) |
징역 6월 |
|
14 | 서병은(徐炳殷) 병도(炳道) 난출(鸞出) |
징역 6월 |
|
15 | 서병천(徐炳千) 찬술(贊述) |
징역 1년 |
|
16 | 서옥균 (徐玉均)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17 | 이동필 (李同必)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18 | 이만춘 (李萬春)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19 | 임백춘(林伯春) 동백(東伯) |
징역 6월 |
|
20 | 정성래 (丁成來)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21 | 조봉홍 (趙奉洪) |
징역 8월 |
|
22 | 조순창 (曺順昌) |
징역 6월 |
|
23 | 최권순 (崔權順)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24 | 한영근 (韓永根)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25 | 한윤산 (韓潤山)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
26 | 한현채 (韓炫采) |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
|